get-info2 님의 블로그

어려운 정보를 아주 쉽게 알려주는 블로그입니다.

  • 2025. 3. 26.

    by. get-info2

    목차

      감기 바이러스의 종류와 특성

      감기는 200개 이상의 다양한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상부 호흡기 감염입니다. 가장 흔한 원인은 라이노바이러스(rhinovirus)로 전체 감기의 약 30~80%를 차지합니다. 그 외에도 코로나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엔테로바이러스,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등이 감기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라이노바이러스는 체온보다 약간 낮은 온도에서 더 잘 증식하는 특성이 있어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코 부위에서 잘 자랍니다. 이러한 바이러스들은 빠르게 변이하고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기 때문에 감기에 대한 백신 개발이 어렵습니다.


      감기 바이러스의 전파 경로

      감기 바이러스는 주로 세 가지 경로를 통해 전파됩니다. 첫째, 공기 중 비말을 통한 전파입니다. 감염된 사람이 기침, 재채기, 대화, 노래 등을 할 때 바이러스가 포함된 호흡기 비말이 공기 중으로 방출되어 다른 사람이 흡입하면 감염될 수 있습니다. 둘째, 직접 접촉을 통한 전파입니다. 감염된 사람과의 직접적인 접촉 후 자신의 눈, 코, 입을 만지면 바이러스가 점막을 통해 체내로 침투할 수 있습니다. 셋째, 오염된 표면(fomites)을 통한 간접 전파입니다. 바이러스는 환경 내에서 최대 18시간 이상 생존할 수 있으며, 오염된 표면을 만진 후 자신의 얼굴을 만지면 감염될 수 있습니다.

      바이러스 전파 과정

      계절적 요인과 감기 발생률

      가을과 겨울철에는 상부 호흡기 감염의 발생률이 높아지는데, 이는 호흡기 바이러스의 전파가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추운 온도는 코 내부의 면역 반응을 감소시켜 바이러스에 대한 취약성을 높입니다. 실험에서는 외부 온도가 23.3°C에서 4.4°C로 떨어지면 코 내부의 온도가 약 5°C 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온도 감소는 코 점막 세포에서 분비되는 세포외 소포체(extracellular vesicles)의 양과 질을 감소시켜 항바이러스 면역 반응을 약화시킵니다. 이로 인해 바이러스가 코 세포에 더 쉽게 부착하고 감염시킬 수 있게 됩니다.


      감기의 잠복기와 전염성

      감기의 잠복기는 바이러스에 노출된 후 증상이 처음 나타날 때까지의 시간으로, 일반적으로 12시간에서 3일 사이입니다. 감염된 사람은 증상이 나타나기 1~2일 전부터 이미 전염성을 가지며, 증상이 가장 심한 처음 3일 동안 전염성이 가장 높습니다. 일반적으로 감기에 걸린 사람은 최대 2주 동안 전염성을 가질 수 있으며, 증상이 지속되는 동안 다른 사람에게 바이러스를 전파할 수 있습니다. 이는 자신이 감기에 걸렸다는 사실을 모르는 상태에서도 다른 사람에게 바이러스를 전파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감기 예방을 위한 과학적 접근

      감기 예방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손 씻기, 씻지 않은 손으로 얼굴 만지지 않기, 아픈 사람과의 접촉 피하기 등입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마스크 착용이 두 가지 주요 이유로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첫째, 마스크는 코로 들어갈 수 있는 바이러스 입자의 양을 줄입니다. 둘째, 마스크는 얼굴 앞에 따뜻한 공기 쿠션을 유지하여 코 상피 세포가 최적의 상태로 작동하도록 돕습니다. 또한 실내 습도를 적절히 유지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겨울철에는 실내 공기가 평소보다 건조해지는 경향이 있는데, 연구에 따르면 공기 습도가 낮아질수록 독감으로 인한 사망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출처: Live Science, Cleveland Clinic, Smithsonian Magazine, Wikipedia, Houston Methodist

      '감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기 치료의 역사  (0) 2025.03.27
      감기에 대한 면역 반응  (0) 2025.03.26
      왜 감기를 완전히 치료할 약은 없는가?  (0) 2025.03.26
      감기 유발 바이러스의 구조와 특징  (0) 2025.03.25
      감기의 역사  (0) 2025.03.25